문제는 무기력이다 (박경숙 저) 책의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합니다.

기존에 쓴 제 경험들과 일부분 연관성이 있어요.

 

'길을 머리로 아는 것과 실제로 걷는 것은 다르다' 라는 말 처럼

무기력을 실제로 경험하지 않았다면 머리로만 알고 있었을 것 같습니다.

 

정리된 내용이 필요하신 분들께 공유하고자 정리합니다.


 

1. 무기력의 정의

 1) 에너지가 고갈되어 하고자 하더라도 무언가 할수 없는 상태

 2) 혼자서는 빠져나오기 어려운 상황

 

2. 무기력의 원인

 1)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음
  예) 통제력을 상실하여 아무것도 할수 없는 상황이 지속이 되었을 때 

 

3. 무기력의 증상 - 4가지 장애 발생(동기,인지,정서,행동)  

 1) 동기 장애

  - 하고자 하는 동기를 약화 시켜 동기 자체를 사라지게 함. 

  - 뭘해야 하는지, 왜해야 하는지 모름.

  - 욕망이 사라진 인간은 아무것도 하지 않으려고 함.

 

 2) 인지장애

  - '해봤자 안될것같아', '또 실패할 거야' 라는 잘못된 생각을 함.

  - 자존감을 키워야함. 

3) 정서장애
  - 감정,야심,활기,용기가 적음.

 

4) 행동장애 : 동기/인지/정서 결합되 나타나는 행동장애 

  - 무기력한 사람은 행동하지 못한다.

 

 

4. 무기력 회복 방법

 1) 무기력의 반대편에 있는 단어가 '자발성' 임을 인지.

 2) 무기력해서 아무것도 할 수 없게 된 지 오래라 하더라도 상황에서 벗어나고 싶다는 마음 갖기.

 3) 동기,인지,정서, 행동 영역을 복합적으로 회복해야함.

 

 4) 동기장애 회복

  - 삶을 사는 마음속에 내재된 자기만의 이유가 있어야함.

 

 5) 인지장애 회복 

  - 나도 할수 있다는 유능감을 느끼는 경험이 필요함. 무능감/열등감과 상반되는 감정.
  - 스스로를 존중하는 자존감을 회복하기. 제대로 살고 싶다는 욕망을 지니기. 

  - 작은 일에 감사하기 시작하면 자신이 가진 것의 소중함을 알게 된다.

  - 경쟁체제에서는 유능감이 생겨나지 않고 협력체제가 유능감을 안겨준다.

  - 자신이 노력으로 나쁜 사태가 개선될 수 있다는 예상이 전제

  - 다른 사람에게 아무런 도움도 되지 않고 영향력을 끼칠 수 없다고 생각하면 무력감을 느낀다고 말한다.
    타인을 돕겠다는 생각으로 다시 출발해야한다. 작은 일일지라도 타인을 돕는 일을 시작해보자

 - 자존감을 키워야함 자존심과 자존감은 정 반대에 위치하는 단어.


 
 6) 정서장애 회복
  - 내가 나를 지지해주기, 내가 나에게 따뜻한 말해주기
  - 하고 싶은 것들은 주저하지 말고 해보기

 7) 행동하기 회복
   - 동기,인지,정서가 회복되면 행동 하게 된다.

 

 

※ 자존심 vs 자존감 
  - 자존감 : 다른 대상과 비교하지 않아도 자신의 가치가 빛난다고 믿을 수 있는
  확고한 감정, 스스로 자신의 가치를 인정하고 자신을 존중하고 사랑하는 감정.
  - 자존심 : 남에게 굽히지 않고 스스로를 높이는 마음, 남과의 경쟁을 전제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