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제는 무기력이다 (박경숙 저) 책의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합니다.
기존에 쓴 제 경험들과 일부분 연관성이 있어요.
'길을 머리로 아는 것과 실제로 걷는 것은 다르다' 라는 말 처럼
무기력을 실제로 경험하지 않았다면 머리로만 알고 있었을 것 같습니다.
정리된 내용이 필요하신 분들께 공유하고자 정리합니다.
1. 무기력의 정의
1) 에너지가 고갈되어 하고자 하더라도 무언가 할수 없는 상태
2) 혼자서는 빠져나오기 어려운 상황
2. 무기력의 원인
1)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음
예) 통제력을 상실하여 아무것도 할수 없는 상황이 지속이 되었을 때
3. 무기력의 증상 - 4가지 장애 발생(동기,인지,정서,행동)
1) 동기 장애
- 하고자 하는 동기를 약화 시켜 동기 자체를 사라지게 함.
- 뭘해야 하는지, 왜해야 하는지 모름.
- 욕망이 사라진 인간은 아무것도 하지 않으려고 함.
2) 인지장애
- '해봤자 안될것같아', '또 실패할 거야' 라는 잘못된 생각을 함.
- 자존감을 키워야함.
3) 정서장애
- 감정,야심,활기,용기가 적음.
4) 행동장애 : 동기/인지/정서 결합되 나타나는 행동장애
- 무기력한 사람은 행동하지 못한다.
4. 무기력 회복 방법
1) 무기력의 반대편에 있는 단어가 '자발성' 임을 인지.
2) 무기력해서 아무것도 할 수 없게 된 지 오래라 하더라도 상황에서 벗어나고 싶다는 마음 갖기.
3) 동기,인지,정서, 행동 영역을 복합적으로 회복해야함.
4) 동기장애 회복
- 삶을 사는 마음속에 내재된 자기만의 이유가 있어야함.
5) 인지장애 회복
- 나도 할수 있다는 유능감을 느끼는 경험이 필요함. 무능감/열등감과 상반되는 감정.
- 스스로를 존중하는 자존감을 회복하기. 제대로 살고 싶다는 욕망을 지니기.
- 작은 일에 감사하기 시작하면 자신이 가진 것의 소중함을 알게 된다.
- 경쟁체제에서는 유능감이 생겨나지 않고 협력체제가 유능감을 안겨준다.
- 자신이 노력으로 나쁜 사태가 개선될 수 있다는 예상이 전제
- 다른 사람에게 아무런 도움도 되지 않고 영향력을 끼칠 수 없다고 생각하면 무력감을 느낀다고 말한다.
타인을 돕겠다는 생각으로 다시 출발해야한다. 작은 일일지라도 타인을 돕는 일을 시작해보자
- 자존감을 키워야함 자존심과 자존감은 정 반대에 위치하는 단어.
6) 정서장애 회복
- 내가 나를 지지해주기, 내가 나에게 따뜻한 말해주기
- 하고 싶은 것들은 주저하지 말고 해보기
7) 행동하기 회복
- 동기,인지,정서가 회복되면 행동 하게 된다.
※ 자존심 vs 자존감
- 자존감 : 다른 대상과 비교하지 않아도 자신의 가치가 빛난다고 믿을 수 있는
확고한 감정, 스스로 자신의 가치를 인정하고 자신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감정.
- 자존심 : 남에게 굽히지 않고 스스로를 높이는 마음, 남과의 경쟁을 전제
'무기력 경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9. 딱 할 수 있는 만큼만하기 - 산책하기 (0) | 2022.06.01 |
---|---|
8. Creator가 되겠어. 왜? (0) | 2022.05.29 |
6. 전보다 더 낫게 하겠어. (0) | 2022.05.29 |
5. 이거 한번 해볼까? - 귀여움 내가 만들기 (0) | 2022.05.29 |
4. 무기력의 실체를 알면 나아질까? (0) | 2022.05.28 |